은 '2030 세대를 통해 바라본 대선' 연속 기획으로, 지지 후보를 정하지 못한 청년 세대의 속내를 그제 전해드렸죠. <br /> <br />오늘은 두 번째 순서로, 2030 세대가 민감하게 반응하는 젠더 문제에 정치권이 과연 제대로 접근하고 있는지 짚어봤습니다. <br /> <br />서은수 PD입니다. <br /> <br />[PD] <br /> <br />[신지예 / 한국여성정치네트워크 대표 : (윤 후보가) 여성 폭력을 해결하고, 기후 위기 대응하고 좌우를 넘어 전진하는 대한민국 만들겠다고 약속해주셔서 함께하기로 했습니다.] <br /> <br />페미니스트 정치인 신지예 씨를 깜짝 영입하며 여성 지지층 확보에 기대감을 나타냈던 윤석열 후보. <br /> <br />하지만 당내에선, 신 씨 영입 이후 2030 남성 지지율이 떨어진다는 비판이 계속됐습니다. <br /> <br />결국, 신 씨는 영입 2주 만에 새시대위원회 수석부위원장직을 사퇴했고, 윤 후보는 "애초에 없어도 될 논란을 만든 내 잘못"이라며 신 씨 영입을 사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를 두고, 윤 후보가 여성 문제 해결에 진정성을 갖고 신 씨를 영입한 게 아니라, 지지율 견인 요소로만 본 게 아니냐는 비판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[신경아 / 한림대 교수 : 청년 여성들의 표를 더 얻겠다는 그런 이제 계획이었을 텐데 너무 쉽게 내쳐졌죠. 청년 여성들이 제기하고 있는 문제에 대해서 후보 캠프가 얼마나 진지하게 이 문제를 생각했는지 한번 묻고 싶고요. 젠더 문제를 중요한 정책적인 사안으로 보기보다는 지지율을 올리는 데 사용하는 매우 소비적인 행태….] <br /> <br />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도 비슷한 비판을 받습니다. <br /> <br />이 후보는 최근 한 유튜브 채널 출연을 앞두고, 이른바 남초 커뮤니티에 해당 채널이 '여성 편향 채널'이라는 글이 올라오기 시작하자 돌연 출연을 취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여야 후보들이 젠더 문제의 본질에 집중하기보다, 2030 지지율 확보에만 급급하고, <br /> <br />특히 20대 남성 유권자, 이른바 '이대남' 표심을 지나치게 의식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정치권이 젠더 문제에 민감하다고 여겨지는 이대남 표심에 집중하기 시작한 건 지난해 4.7 재보궐 선거 이후. <br /> <br />당시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구 조사에서, 20대 남성 72.5%가 오세훈 후보를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20대 남성 유권자의 결집력을 확인했다는 판단에, 여기에 전략을 집중하기 시작한 겁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20대 남성 유권자가 젠더 이슈에만 반응한다는 것은 착각이며, 2030 세... (중략)<br /><br />YTN 서은수 (seoes0105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201061956414481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